성지소개

해외성지 국내성지
작성일 : 21-04-08 14:49
원주교구1
글쓴이 : (주)점프투어리즘           @          

강원 감영

강원 감영은 조선시대 강원도 지방행정의 중심지로 500년 동안 강원도의 정청(政廳) 업무를 수행했다. 그래서 원주 일대의 죄인들이 강원 감영으로 끌려와 정청인 선화당에서 형벌을 받고 처형되었다. 당시 이곳에서는 국사범 등의 중죄인은 물론 잡범들에 대한 형도 집행됐는데 박해가 일자 많은 천주교인들이 이곳에 잡혀와 갖은 고초를 겪은 후 처형되었다.

포정루와 선화당이 순교의 피를 흘렸던 박해의 현장임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2014년 8월 16일 광화문 광장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복자품에 오른 김강이 시몬, 최해성 요한, 최 비르지타 등 많은 순교자들이 강원 감영의 옥에서 혹독한 옥살이를 하다가 옥사하거나 치명했다. 안타까운 것은 옥터와 참수터의 정확한 위치가 밝혀지지 않았고, 다만 짐작되는 곳에도 이미 건물들이 들어서 있어 복원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원주시는 강원 감영지에 있던 원주시 제2청사를 철거하고 지속적인 발굴과 복원 작업을 진행해 2018년 11월 복원기념 준공식을 거행했다.

 

대안리 공소

대안리 공소는 1910년 11월 12일 조선 교구장 뮈텔 주교에 의해 축성된 목조 가구식 한옥 형태의 성당 건물로 2004년 12월 31일 근대문화유산 등록문화재 제140호로 지정되었다. 구전에 의하면 대안리 공소는 1892년에 설립되었고, 현 공소 건물은 1900-1906년 사이에 완공되다. 원주교구에서 1892년 이전에 설립된 본당은 풍수원 본당밖에 없을 정도로 유서 깊은 공소이다. 이렇듯 일찍이 공소가 설립된 이유는 대안리 일대가 교우촌이었기 때문이다.

공소 건물은 100여 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많은 풍상을 겪었다. 원래 초가지붕이었으나 1950년대에 초가를 걷어내고 기와를 얹었고, 1960년경에는 공소를 거의 두 배 가까이 확장했다. 1986년에는 창틀을 알루미늄으로 교체하고, 내부 흙벽에 합판을 덧대고, 입구에 현관을 따로 만들었다. 대안리 공소는 한국전쟁 때 인민군 막사로 사용됐고, 전쟁이 끝난 후에는 미군 구호물자를 나눠주는 배급처가 되기도 했다. 최근에는 무농약, 오리농법으로 농사를 짓는 공소로 전국에 이름을 떨치고 있다.

 

묘재(성 남종삼 요힌, 순교자 남상교 아우구스티노 유택지)

묘재 순교사적지에는 순교자 남상교 아우구스티노가 신앙생활에 전념하기 위해 관직을 내놓고 내려와 은거 생활을 하던 유택이 있다. 그는 이곳에서 신앙생활에 전념하며 아들 남종삼 요한이 찾아오면 신앙에 대한 가르침을 베풀었다. 남종삼은 1866년 병인박해 때 치명을 각오하고 한양으로 가던 중 체포되어 3월 7일 서소문 밖 네거리에서 순교했다. 그 후 부친 남상교도 붙잡혀 공주로, 장자 명희는 전주로 유배되어 순교하고 처 이조이, 막내아들 규희와 두 딸은 경상도로 유배되어 노비 생활을 하게 되었다. 그 후 남종삼의 부인 이조이도 창녕에서 순교하여 3대에 걸쳐 4명이 순교했다. 남종삼 요한은 1984년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성인품에 올랐다.

순교자 남상교와 남종삼 성인의 유택이 있는 마을에는 1920년대부터 신자들이 들어와 교우촌을 이루었고, 1938년에 목조 공소 건물을 신축했다. 유택 앞에 있는 옛 공소 건물은 1955년 9월 신축했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학산 공소는 1989년에 신축했다. 또한 순교자의 후손과 은인들의 도움을 받아 1987년 유택을 보수하고 뒷산에 14처를 조성했으며, 1999년 5월 6일 유택 뒤편에 성모상을 세우고 축복식을 거행했다. 2013년 10월에는 공소 옆에 교육관을 신축했고, 2014년에는 유택을 해체해 전면 보수작업을 시행했다.

 

배론 성지

배론 성지는 박해를 피해 산과 계곡으로 숨어든 교우들이 모여 이룬 교우촌으로 주로 옹기 굽는 일을 하며 신앙생활을 하던 곳이다. 앞길이 창창했던 황사영은 천주교의 오묘한 이치에 매료되어 세례를 받은 후에는 벼슬길도 마다하고 1801년 신유박해 때 배론으로 들어왔다. 그해 8월 주문모 신부의 순교 소식을 듣고는 낙심과 의분으로 북경 구베아 주교에게 보내는 탄원서를 배론의 옹기 토굴에서 썼는데, 그것이 황사영 백서이다. 하지만 백서를 품고 가던 황심이 붙잡혀 황사영도 대역무도의 죄인으로 극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옹기 토굴 옆에는 1855년 장주기 회장의 초가집에 세워진 한국 최초의 서구식 대학인 신학당이 복원되어 있고, 그 뒷산에는 땀의 순교자 최양업 신부의 묘소가 있다. 이렇듯 배론 성지는 교회사적으로뿐만 아니라 문화사적으로도 중요한 곳으로, 2001년 3월 2일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성지 일대가 충청북도 기념물 제118호로 지정되었다.

 

성내동 성당

성내동 성당은 1946년 강릉(현 임당동) 본당의 삼척 공소로 시작해 1949년 10월 본당으로 승격되었다. 초대 주임으로 부임한 성 골롬반 외방선교회의 매긴 신부는 1950년 7월 북한군에게 피살되어 순교했고, 이듬해 2대 주임으로 부임한 버크 신부가 본당의 기틀을 다져 나갔다. 4대 주임으로 부임한 코너스 신부는 현 성당 부지에 성당과 사제관을 건립해 1957년 11월 본당을 이전했다. 1961년 11월 본당 구내에 ‘성 요셉 의원’을 개원했고, 1965년 3월 춘천교구에서 원주교구가 분리되면서 원주교구 소속이 되었다. 1966년 10월 본당 이름을 삼척에서 성내리로, 1988년 10월 성내동으로 변경했다.

성내동 성당은 동산 위에 있어 삼척 시내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위치에 건립되었다. 1957년 3월 본격적으로 성당 건축을 시작했는데, 설계도는 춘천교구장 퀸란 주교가 보내왔고, 시공은 강릉 임당동 성당과 묵호 성당을 시공한 경험이 있는 중국인 신자 가(賈)씨가 맡았다. 여러 어려움 중에 공사를 마무리해 1957년 11월 5일 봉헌식을 거행했다. 건평 133평의 성당과 30평의 사제관은 당시 춘천교구에서는 가장 큰 규모였다.

성내동 성당은 1950년대 후반의 지방 건축기술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2004년 12월 근대문화유산 등록문화재 제141호로 지정되었다.


 
 

(주)점프투어리즘 | 대표 : 김각현 | 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매화로 48번길 18-4 101호
사업자등록번호 : 129-86-64181 | 관광업신고번호 : 제159호 <사업장정보확인>
여행문의 : 031-706-9175 | 팩스 : 031-707-9176 | 메일 : yeollijea@naver.com




Copyright ⓒ (주)점프투어리즘 all rights reserved

※ 유류할증료의 변동에 따라 요금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